김지팡의 저장소
캡슐화와 역캡슐화
네트워크 2023. 12. 19. 00:08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캡슐화 &역캡슐화 🧑‍💻 컴퓨터 A에서 컴퓨터 B로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붙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하는데, 그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또한, 이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데이터를 송신할 때 헤더를 붙이며 다음 계층으로 나아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하며, 데이터를 받으며 헤더를 제거하는 것이 역캡슐화이다. 📚 캡슐화의 과정 송신 측 컴퓨터 A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을 한다고 할 때, 수신 측 컴퓨터(서버) B에게 웹 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를 전송계층으로 보낸다. (응용 계층)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헤..

OSI 모델과 TCP/IP 모델
네트워크 2023. 12. 18. 23:50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과거의 통신은 같은 브랜드의 컴퓨터끼리만 통신이 가능했다 한다. 이에 대해 이유가 궁금해서 살짝 찾아보는데, 그 이유가 중요한 건 아니니 몇 가지만 간단히 이야기하고 넘어가겠다. 초기 컴퓨터 기술은 큰 발전을 이룬 상태는 아니었기에 다양한 시스템 간의 호환성까지 고려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고 한다. (기술적 제한) 여러 컴퓨터 제조업체들이 그들만의 독점적인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구축하면서 고객을 잡아두기 위한 전략이었다고도 한다. (상업적 전략) 이렇게 되다 보니 제약 없이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규격이 필요했었다 한다. 그로 인해, 생겨난 것이 OSI 모델이라고 한다. 📚 OSI 모델 OSI 모델은 모든 기기와..

규칙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 [네트워크의 규칙]
네트워크 2023. 11. 17. 11:53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세상에는 많은 규칙들이 존재한다. 가정 내에서의 규칙, 사회 구성원으로서 지켜야 할 규칙 등등 이러한 규칙들을 잘 지켜야 원만한 관계가 유지될 수 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컴퓨터 세계에서도 규칙이 있다. 사실 어떻게 보면 컴퓨터야말로 규칙이 아주 잘 갖춰져 있어야 하는 것 같다. 이 세상의 모든 컴퓨터는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기에 서로 다른 규칙을 가진다면 어떠한 통신도 안될 것이다. 컴퓨터 네트워크는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라 앞의 포스팅들에서 이야기를 했었다. 데이터를 잘 주고받기 위해서는 데이터들의 규칙이 필요하다! 📚 데이터들의 규칙 컴퓨터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원활하게 주고받기 위해 규칙을 정..

DMZ(DeMilitarized Zone) 네트워크 -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네트워크 2023. 11. 15. 14:55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가정에서 구성하는 네트워크와는 다르게 DMZ(DeMilitarized Zone) 네트워크라는 영역이 존재한다. 이는 외부에 공개하기 위한 네트워크라고 한다. 📚 무얼 공개한다는 거지? 회사에서 개발한 서버이다. 그 서버에는 웹 서버, 메일 서버, DNS 서버가 있을 수 있다. 📚 근데 요즘 클라우드 서비스를 많이 쓰는데 DMZ를 쓰나..? 결론부터 말하면 웬만하면 클라우드 서비스를 쓰는 것이 맞았다. 사내에서 직접 서버 운영을 위해 데이터 센터가 있는 경우도 있지만 이건 주로 규모가 큰 기업들이 하는 것일 테니! 그리고 또 찾아보니 DMZ는 복잡한 네트워크 구성을 하고 있기 때문에 구축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고, 비용과..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 -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네트워크 2023. 11. 13. 23:59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집에 인터넷을 연결하려면? 좁은 지역에서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네트워크의 종류는 LAN이다. 이러한 LAN은 가정집에서도 사용되는 네트워크이다. 하지만,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LAN이 아닌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와 인터넷 회선이 필요하다. 📚 ISP와 인터넷 회선은 뭐지? ISP(인터넷 서비스 제공자)는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로서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에는 KT, SKT, LG U+ 가 있다. 인터넷 회선은 ISP에서 가정 혹은 사무실 등으로 제공되는 물리적인 케이블이다. 📚 ISP... 인터넷 회선... 그게 뭐지..? 🧑‍💻 ISP와 인터넷 회선이 이상하게 뭔지 이해도 안 되..

LAN과 WAN(네트워크의 범위)
네트워크 2023. 11. 7. 00:18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네트워크의 종류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LAN과 WAN)로 나눌 수 있다. 🧑‍💻 찾아보니 LAN과 WAN 이외에 MAN, PAN, CAN, SAN이라는 것들도 있었다. 📚 LAN(Loacl Area Network) LAN은 근거리 네트워크로서 좁은 지역(Local Area)에서의 통신을 말한다. 하나의 예시는 가정집에서 A 컴퓨터와 B 컴퓨터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이다. 🧑‍💻 꼭 두 대 이상의 전자기기(컴퓨터, 복합기, 노트북 등)가 연결이 되어있어야 LAN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은 아니다. 📚WAN(Wide Area Network) WAN은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Wide A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