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이 글은 '모두의 네트워크' 책을 읽고 난 후의 생각을 정리하는 글입니다.
📚 캡슐화 &역캡슐화
🧑💻 컴퓨터 A에서 컴퓨터 B로 데이터를 보낼 때, 데이터를 전송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붙여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하는데, 그 정보를 헤더라고 한다.
또한, 이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렇게 데이터를 송신할 때 헤더를 붙이며 다음 계층으로 나아가는 것을 캡슐화라고 하며, 데이터를 받으며 헤더를 제거하는 것이 역캡슐화이다.
📚 캡슐화의 과정
- 송신 측 컴퓨터 A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을 한다고 할 때, 수신 측 컴퓨터(서버) B에게 웹 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이를 전송계층으로 보낸다. (응용 계층)
- 응용 계층으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에 헤더를 붙인다. 🧑💻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을 구현하기 위함이라 한다. (전송 계층)
- 전송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와 통신하기 위해 헤더를 붙인다. (네트워크 계층)
- 네트워크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물리적인 통신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헤더와 트레일러(데이터 전달 시 데이터의 마지막에 추가하는 정보)를 붙인다. (데이터링크 계층)
- 물리 계층에서 최종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줘야 한다.
🧑💻 역캡슐화는 캡슐화와 정확히 상반되는 과정으로 흘러간다.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헤더 및 트레일러를 데이터에 붙였던 과정을 거꾸로 제거하며 상위 계층으로 전달하는 과정이다.
728x90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OSI 모델과 TCP/IP 모델 (0) | 2023.12.18 |
---|---|
규칙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 [네트워크의 규칙] (0) | 2023.11.17 |
DMZ(DeMilitarized Zone) 네트워크 - [회사에서 하는 랜 구성] (0) | 2023.11.15 |
우리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는 이유 - [가정에서 하는 랜 구성] (0) | 2023.11.13 |
LAN과 WAN(네트워크의 범위) (0) | 2023.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