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글은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제 생각을 이해한 대로 옮겨 적는다는 점에서 다르거나 혹은 틀릴 수도 있다는 점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만약 틀린 정보라면 적극적으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JWT와 Stateless에 대해 다룰 것이다. 이를 주제로 다루고자 했던 이유가 있다. 그에 대해 이야기하기 위해 JWT의 특징으로 거슬러 올라가 보겠다. 1. JWT는 클라이언트 측에서 관리를 할 수 있기에 서버의 과부하를 줄일 수 있고, 상태를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2. JWT에는 필요한 정보를 커스텀해서 저장할 수 있어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통신에서 추가적인 쿼리를 수행할 필요가 없다. 처음 JWT 토큰을 알게 되었을 때에는, '이래 저..
❗️ 블로그의 모든 글은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제가 이해한 대로 생각을 옮겨 적는다는 점에서 내용이 다소 다르거나 혹은 틀릴 수도 있다는 점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만약 틀린 정보라면 적극적으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이번 글은 과거의 UUID & Auto Increment에 대한 포스팅의 연장선이 되는 글이다. 이 글의 마지막에서 내가 채택한 방법에 대해 공유를 하겠다는 말을 했는데, 저 글을 작성한 지 한 달이 훌쩍 넘은 지금에야 작성한다. 🤣 📝 둘 중 뭘 써야 되나 UUID와 Auto Increment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던 이유는 장고와 리액트로 구축한 웹에서 여러 정보들을 노출시키지 않기 위해서였다. 이에 대한 글은 이 포스팅에 있다. Auto..

❗️ 이 글은 최대한 정확한 정보를 공유하고자 작성하는 글입니다. 하지만, 제 생각을 이해한대로 옮겨 적는 다는 점에서 다르거나 혹은 틀릴 수도 있다는 점 너그러이 양해 부탁드립니다. 만약 틀린 정보라면 적극적으로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PK DB 테이블에는 Primary Key(PK)가 필수로 존재한다. Primary Key 이외에도 Foreign Key, Super Key, Alternate Key, Candidate Key 같은 다양한 Key들이 존재하지만, 이 글은 UUID와 PK를 비교하는 글이기 때문에 각각의 Key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하겠다. PK는 간단히 말해서 사람의 주민등록번호와도 같다. name, height, weight 등 사람의 정보는 동일할 수 있지만, 주민등록번호가 같은 ..

기존에 작성한 코드를 가지고 실행을 하게 되면(domain, repository, service, controller 코드는 생략) 아래와 같은 테이블이 생성된다. 👇 major에 Enum 상수값이 아닌 인덱스 번호가 들어간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enum 클래스 내에 작성한 상수의 순서대로 반환을 한다. 즉, Salah의 major는 PHYSICS, 영혼의 단짝 Son과 Kane의 major는 BIOLOGY, 그리고 나머지 세명은 SOCIOLOGY를 major로 가지게 된다. 이렇게 반환해도 무방하지만 어떠한 major를 가지고 있는지 번호로 한눈에 보기는 어렵다. Enum 상수값을 그대로 DB에 저장을 하기 위해서는 @Enumerated라는 어노테이션이 필요한데, 이때, 사용하는 것이 @Enum..

스프링 부트 환경에서 게시판 CRUD를 구현하는 중 이러한 에러를 맞이했다 'ㅅ' bean 생성에서 생긴 에러,,? 이뿐만이 아니라 boardController에서 에러가 나오니 서로 연결되어 있는 곳(boardService, boardRepository까지)이 모두 연결 지어서 같은 에러가 나왔다.!! 우선, controller에 문제가 있는 것인가 하는 판단으로 boardController로 가보았다. 하지만,,! 역시 뭔지 모르겠다 :( 바로 구글링!! 구글링 결과 👇 https://velog.io/@izuiw/spring-security-Error-creating-bean-with-name-%EC%97%90% EB% 9F% AC-%EC%88% 9C% ED%99%98-%EC% B0% B8% EC% ..
Code Convention Code Convention 🤔 본인이 작성한 코드를 다른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코드 작성 규칙 필요성 & 장점 👀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일련의 모든 과정에서 들어가는 비용 중 80%가 유지보수 소프트웨어의 유지보수를 그 소프트웨어를 직접 개발한 개발자가 담당하는 경우는 드물다. 다른 개발자가 그 소스코드를 보았을 때 더 빠른 시간에 이해하려면 코드 컨벤션이 잘 구성되어 있어야 한다. ================================================================ 누군가와 협업할 실력은 되지 않지만 협업을 해보고 있는 지금 코드 컨벤션의 중요성을 체감할 수 있게 되었다. 100명을 모아놓고 봤을 때 100명이 ..